본문 바로가기
IT/Git&Git-hub

Git (깃) 설치방법

by 행복해지는습관 2024. 7. 8.

Git download : https://git-scm.com/ 클릭

  1. 우측하단의 Download for windows 클릭
  2. Click here to download 선택
  1. 설치를 시작합니다.

설치가 완료된 git을 실행후 하단의 캡쳐와같이 브랜치를 **“main”**으로 변경(입력) 후 next실행

으로 계속 진행(모든옵션유지)후 설치 완료

  • git config --global init.defaultbBranch main (브랜치명은 추후에도 변경가능)
  1. Git Bash 실행 → git - - version 입력 (버전상태확인)
  1. git 사용을 위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합니다.
$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codeshlee"  (깃헙 유저네임)
$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깃헙에 등록된 이메일주소입력 (우측상단 개인계정의 이메일주소)
$ git config --list (리스트로 설정확인)
$ git config --get user.name
$ git config --get user.email

email 설정과 username 설정을 제대로 안해주시면 커밋내역에서 계정 이름이 아닌 유저이름이 올라갈 수도 있습니다.

  • VSC에서 사용 Ctrl + Shift + P를 눌러 Terminal: Select Default Profile을 git bash로 변경해주세요.

저장소 만들기

  • 작업할 디렉토리를 만들고(mkdir) 생성한 디렉토리로 이동하기(cd)
$ mkdir git-test
$ cd git-test
  • 현재 디렉토리를 Git 저장소로 만들어 원하는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버전관리를 합니다.
$ git init

git init 을 입력하면 해당 폴더 기준으로 .git(로컬 저장소)가 생성됩니다. 로컬 저장소에는 버전 정보, 원격 저장소 주소가 저장됩니다.

<aside> 💡 이때, 한 폴더에는 하나의 .git(로컬 저장소)을 가져야 합니다. 그렇지 않을 경우 충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</aside>

git commit

커밋(commit)은 저장소에 소스 코드의 일부의 최신 변경사항을 추가함으로써 이러한 변경사항을 저장소의 최상위 리비전(head revision)의 일부분으로 만들어주는 것을 말한다.

파일을 생성(touch), 추가(add)하고 커밋(commit)하기

$ touch README.md
$ git status # Untracked 확인
$ git add README.md
$ git commit -m "first commit"

 

'IT > Git&Git-hu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Git과 Git hub 차이점에 관해 알아봅시다  (0) 2024.07.06